본문 바로가기
카테고리 없음

🌐 www 없는 도메인? 그게 뭔데요?

by 주인_아재 2025. 3. 21.

 

도메인을 처음 접하면 한 가지 궁금한 게 생깁니다.
"어떤 사이트는 www가 붙고, 어떤 곳은 그냥 domain.com으로 열리네?"

예를 들어,

둘 다 같은 웹사이트로 보일 수도 있지만, **기술적으로는 서로 다른 주소(DNS 레코드)**입니다.
그러니까 www가 있느냐 없느냐는 단순한 스타일의 차이가 아니라,
도메인 설정 방식과 연결 방식의 차이에서 비롯되는 것이에요.


✅ www 없는 도메인 = 루트 도메인

먼저 기본 개념부터 살펴볼게요.

  • example.com → 이것이 바로 루트 도메인 또는 **베어 도메인(Bare Domain)**이라고 합니다.
  • www.example.com → 이는 **서브도메인(Subdomain)**이에요. ‘www’도 사실은 도메인의 한 부분입니다.

즉, www는 단지 “관례적으로 붙이는 것”이지, 필수 요소는 아닙니다.


🧠 그럼 왜 어떤 사이트는 www를 쓰고, 어떤 사이트는 안 쓸까요?

사실 요즘은 기술적으로 www 없이도 접속할 수 있도록 설정하는 것이 일반적입니다.
하지만 두 가지 주소가 동일하게 작동하려면, 웹사이트나 서버에서 이를 **리디렉션(연결)**하거나 DNS 설정을 잘 해줘야 합니다.

예를 들어:

  • 사용자가 www.example.com으로 접속해도 example.com으로 자동 연결되도록 설정
  • 또는 그 반대로 example.com을 입력하면 www.example.com으로 이동하도록 만들 수도 있어요

이 과정을 흔히 **도메인 정규화(domain canonicalization)**라고 부르며,
SEO 측면에서도 하나의 주소로 통일하는 것이 매우 중요합니다.


🔧 www 없는 도메인을 설정할 때 주의할 점

1. DNS 설정

도메인을 구매한 곳(가비아, 카페24, GoDaddy 등)에서 A레코드나 CNAME 레코드를 이용해
루트 도메인에 올바른 IP나 경로를 연결해야 합니다.

2. SSL 인증서

보안 인증서(HTTPS)를 적용할 때도,
www와 non-www 도메인 각각 인증이 필요할 수 있어요.
대부분의 무료 인증서(예: Let's Encrypt)는 둘 다 자동 지원하지만, 꼭 확인하는 게 좋습니다.

3. 서버 설정 / 리디렉션

웹 서버(Apache, Nginx 등)나 호스팅 서비스에서
www → non-www 또는 그 반대로 301 리디렉션 설정을 해두어야
방문자와 검색엔진이 혼란 없이 접속할 수 있어요.


🆚 www vs non-www, 뭐가 더 좋을까?

요즘은 대부분의 사이트가 non-www 주소를 메인으로 사용합니다.
예:

  • google.com
  • facebook.com
  • netflix.com

하지만 기업이나 기관에서는 여전히 www 주소를 선호하기도 해요.
크게 보면 둘 중 어느 것이든 상관없지만,
중요한 건 하나로 통일하고, 다른 주소는 리디렉션 처리하는 것입니다.


📌 요약 정리

 

구분 설명
www 도메인 서브도메인 (www는 기술적으로 선택 사항)
non-www 도메인 루트 도메인 (example.com)
SEO 측면 하나로 통일하고 리디렉션 처리해야 유리
추천 방식 요즘은 www 없이 사용하는 경우가 많음
설정 필요 요소 DNS 레코드, SSL 인증서, 301 리디렉션 설정

✍️ 블로그나 개인 홈페이지를 운영 중이라면?

  • 도메인 설정 시 www를 쓸지, non-www를 쓸지 한 가지로 결정하세요
  • 나머지 주소는 301 리디렉션으로 연결해 방문자와 검색엔진이 혼란 없도록
  • 구글 서치 콘솔에도 기본 URL을 통일해서 등록하는 것이 SEO에 도움이 됩니다

 

www 없는 도메인 설정 완벽 가이드 – 리디렉션, SSL, SEO까지

도메인을 연결하고 웹사이트를 운영하려는 분들에게 꼭 필요한 실전 가이드! 이 글에서는 www 없는 도메인을 설정하는 이유부터, 리디렉션 방법, 보안 인증서(SSL) 적용법, 구글 서치 콘솔 등록법까지 차근차근 안내해드립니다.

1. www 리디렉션 설정 방법

사이트를 하나의 주소로 통일하지 않으면, 사용자 경험뿐만 아니라 SEO에도 문제가 생깁니다. 가장 많이 쓰이는 방식은 www에서 non-www로 301 리디렉션을 설정하는 것입니다.

✔ Apache (.htaccess) 리디렉션 설정

RewriteEngine On
RewriteCond %{HTTP_HOST} ^www\.example\.com [NC]
RewriteRule ^(.*)$ https://example.com/$1 [L,R=301]
    

✔ Nginx 설정

server {
    listen 80;
    server_name www.example.com;
    return 301 https://example.com$request_uri;
}
    

이렇게 설정하면 www.example.com으로 접속해도 자동으로 example.com으로 이동하게 됩니다.

2. SSL 인증서 적용 (HTTPS 보안)

www와 non-www 각각의 도메인 주소가 HTTPS로 안전하게 연결되도록 SSL 인증서를 적용해야 합니다.

✔ Let's Encrypt 사용 시

무료 인증서 발급 도구인 Certbot을 사용하면, 두 도메인 모두 자동으로 인증서를 발급받을 수 있습니다.

sudo certbot --nginx -d example.com -d www.example.com
    

이후 자동 갱신 설정까지 해두면 안전하게 HTTPS를 유지할 수 있습니다.

3. 구글 서치 콘솔에 도메인 등록 및 정규화

SEO 최적화를 위해서는 구글 서치 콘솔(Google Search Console)에 도메인을 등록하고, 원하는 주소 형식(www 또는 non-www)을 기본 주소(canonical)로 설정해야 합니다.

  1. 서치 콘솔 접속: https://search.google.com/search-console
  2. 도메인 속성 등록 (example.com)
  3. DNS TXT 레코드 인증 완료
  4. www와 non-www 모두 ‘속성 추가’로 등록 후, 하나를 기준 주소로 설정

💡 팁: 사이트맵도 기준 도메인 주소로 제출하면 크롤링에 유리합니다.

4. 도메인 통일이 중요한 이유 (SEO 관점)

검색엔진은 www.example.comexample.com을 서로 다른 웹사이트로 인식할 수 있습니다.

  • ✔ 중복 콘텐츠로 인한 SEO 점수 손실
  • ✔ 백링크 분산 → 도메인 권한(Domain Authority) 약화
  • ✔ 크롤링 예산 낭비

따라서 반드시 하나의 도메인 주소로 통일하고, 다른 주소는 301 리디렉션하는 것이 검색 엔진 최적화(SEO)에 큰 도움이 됩니다.

📌 마무리

도메인 운영은 단순히 주소를 연결하는 것을 넘어, 신뢰도, 보안, SEO, 사용자 경험까지 영향을 주는 중요한 요소입니다.

www 없는 도메인을 선택하든, www를 유지하든 하나의 기준을 정하고 그에 맞게 설정해두면 더 효율적인 웹사이트 운영이 가능합니다.

앞으로 도메인을 연결하거나 블로그를 만들 때, 이 가이드를 참고하셔서 꼭 www 설정과 리디렉션, 보안 설정까지 완성해보세요. 사이트 신뢰도도 높아지고, 구글 검색에도 더 잘 노출될 거예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