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카테고리 없음

성인 홍역 예방접종 완전 가이드 (2025년 최신)

by 주인_아재 2025. 7. 17.

 

최근 홍역이 다시 기승을 부리며 성인 예방접종의 필요성이 커지고 있습니다. 특히 해외여행을 계획하거나 병원, 학교 등에서 일하는 분들은 반드시 확인해야 할 정보입니다.

이 글에서는 2025년 현재 홍역의 국내외 현황, 예방접종 권고 기준, 실제 접종 방법과 비용, 정책 흐름까지 한눈에 정리해 드립니다.


홍역, 왜 성인이 위험할까?

2025년 7월 기준, 국내 홍역 환자 수는 총 65명으로 전년 동기 대비 1.4배 증가했습니다.

그중 **76.9%가 성인(19세 이상)**이며, 이 중 절반 이상은 백신 접종력이 없거나 모름 상태로 확인됐습니다.

게다가 홍역의 70% 이상은 해외에서 유입된 것으로 파악됐고, 특히 동남아(베트남 등) 방문력이 많았습니다.

홍역은 한 명이 걸리면 주변 90% 이상에게 전파될 수 있는 공기 감염 질환입니다. 성인의 경우 백신 미접종 또는 항체 부족 상태에서 감염될 확률이 매우 높습니다.


누구에게 접종이 필요할까?

질병관리청 권고에 따르면 다음과 같은 사람들은 MMR 백신 2회 접종이 권장됩니다.

구분 대상 접종 권장 여부
출생연도 1968년 1월 1일 이후 출생자 2회 접종 권장
항체 여부 홍역 항체 음성 2회 접종 필수
직업·환경 해외여행 예정자, 보건의료인, 교육·복지시설 종사자, 군인, 기숙사·집단생활자 2회 접종 권장
기타 예방접종력 확인 불가한 성인 항체 검사 또는 2회 접종 권장

※ 1967년 이전 출생자는 자연면역 보유 가능성으로 별도 접종 불필요


접종은 언제, 몇 번 해야 할까?

  • 기본 권장: 총 2회 (4주 이상 간격)
    • 과거 1회만 맞았거나, 접종 여부를 모를 경우 → 2회 접종
    • 출국 계획 있는 경우 → 출국 4~6주 전까지 완료 권장
  • 항체검사 후 음성일 경우 → 반드시 2회 접종

실제 데이터로 보는 홍역 위험성

2025년 상반기 홍역 관련 통계를 살펴보면 다음과 같습니다:

  • 총 환자 수: 65명
    • 이 중 성인(19세 이상): 50명 (76.9%)
    • 접종력 없음 또는 불명: 36명 (55.4%)
    • 해외유입 사례: 46명 (70.8%)
  • 항체 보유율(2019년 기준):
    • 20~29세: 75.8%
    • 30~39세: 90.6%
    • 40대 이상: 94% 이상

👉 특히 20~30대는 항체 보유율이 낮고, 여행·업무로 노출 위험이 높은 연령대입니다.


백신 효과와 부작용은?

  • 예방 효과: MMR 백신 2회 접종 시 97% 이상 예방
  • 부작용:
    • 발열, 발진 등 경미한 증상: 약 5~15%
    • 심각한 반응(아나필락시스 등): 드물지만 가능성 있음
  • 금기 대상:
    • 임신 중인 경우
    • 면역저하자
    • 백신 성분(젤라틴, 네오마이신 등)에 알레르기 있는 경우

접종은 어디서? 비용은?

  • 접종 가능 기관:
    • 전국 보건소
    • 일반 소아청소년과, 내과 의원
    • 예방접종 지정 병원
  • 비용 안내:
    • 보건소: 약 5,000원 ~ 10,000원
    • 민간 병원: 약 30,000원 내외 (기관별 상이)
  • 접종 여부 확인 방법:

성인 홍역 접종, 지금 왜 중요할까?

홍역은 한때 사라진 질병처럼 여겨졌지만, 해외 유입으로 언제든 재유행할 수 있는 감염병입니다.

성인도 예외가 아닙니다. 항체가 없거나 접종 기록이 불확실하다면, 감염 시 고열, 발진, 폐렴, 뇌염 등 심각한 합병증이 따를 수 있습니다.


한눈에 요약

  • 2025년 홍역 환자 중 성인 비율 76.9%
  • 1968년 이후 출생자는 항체검사 또는 2회 접종 필요
  • MMR 백신 2회 접종 시 97% 예방
  • 보건소에서 저렴하게 접종 가능
  • 해외여행, 의료·복지 업무 종사자는 출국 전 미리 접종 필수