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카테고리 없음

[2025 최신] 청년도약계좌 가입 조건, 아직 늦지 않았어요! (ft. 희망적금 연계)

by 주인_아재 2025. 7. 2.
목돈 마련의 꿈, 2025년 청년도약계좌로 현실로 만드세요! 5년 동안 꾸준히 저축하면 정부가 힘을 보태 최대 5,000만 원의 목돈을 만들 수 있는 청년 맞춤형 정책 금융 상품, 2025년 최신 정보를 총정리했습니다.

안녕하세요! 금융위원회 청년 정책 금융 전문가입니다. 많은 청년분들이 미래를 위해 열심히 발걸음을 내딛고 계신데요. 그 발걸음에 든든한 디딤돌이 되어줄 '청년도약계좌'에 대해 정말 많은 문의를 주고 계세요. 그래서 오늘은 2025년 최신 기준으로 누가, 어떻게, 어떤 혜택을 받을 수 있는지! 가장 궁금해하시는 점들만 쏙쏙 뽑아 알기 쉽게 설명해 드릴게요. 😊

 

✨ 청년도약계좌, 핵심 혜택은?

청년도약계좌는 청년의 중장기적인 자산 형성을 지원하기 위해 만들어진 정책 금융 상품이에요. 매월 70만 원 한도 내에서 자유롭게 저축하면, 정부가 소득 수준에 따라 월 최대 2.4만 원의 기여금을 추가로 적립해준답니다. 여기에 더해 5년 만기를 채우면 이자 소득에 대한 세금이 전혀 붙지 않는 비과세 혜택까지 받을 수 있어 실질적인 수익률이 매우 높은 것이 가장 큰 장점이죠.

 

🔍 2025년 가입 조건 상세 안내

'저는 가입할 수 있을까요?' 가장 많이 물어보시는 질문이에요. 나이, 개인 소득, 가구 소득 세 가지 조건을 모두 만족해야 하는데요. 하나씩 꼼꼼하게 살펴볼게요.

1. 나이 조건: 만 19세 ~ 34세 청년

기본적으로 계좌 신규일 기준으로 만 19세 이상, 만 34세 이하인 청년이 대상입니다. 하지만 병역을 이행한 경우에는 예외가 적용돼요!

💡 병역 이행자 나이 계산 Tip!
병역 이행 기간(최대 6년)은 현재 나이에서 빼고 계산해요. 예를 들어, 2년간 군 복무를 한 만 36세 청년이라면, 나이를 만 34세(36-2)로 계산하여 가입 대상에 포함될 수 있습니다.

2. 개인 소득 조건

직전 과세기간(2024년 1월~12월)의 소득이 확정되어야 판단할 수 있어요. 소득 형태에 따라 기준이 조금 다릅니다.

  • 근로소득만 있는 경우: 총급여액 7,500만 원 이하
  • 사업소득 등이 있는 경우: 종합소득금액 6,300만 원 이하
⚠️ 주의하세요!
국세청을 통해 소득금액 증명이 불가능한 경우, 즉 소득이 전혀 없는 무소득자는 가입이 어렵습니다. 또한, 직전 3개년도 중 1회라도 금융소득종합과세 대상자였다면 가입할 수 없습니다.

3. 가구 소득 조건: 기준 중위소득 250% 이하

신청자 본인을 포함한 가구원의 소득 합계액이 기준 중위소득의 250% 이하여야 합니다. 여기서 '가구원'은 주민등록등본에 등재된 배우자, 부모, 자녀, 미성년 형제자매를 기준으로 판단해요. 2025년 기준 소득액은 아래 표를 참고해주세요.

가구 규모 2025년 기준 중위소득 (100%) 가입 가능 소득 상한액 (250%)
1인 가구 2,392,013원 5,980,033원
2인 가구 3,932,658원 9,831,645원
3인 가구 5,025,353원 12,563,383원
4인 가구 6,097,773원 15,244,433원

※ 위 정보는 금융위원회 및 서민금융진흥원의 공식 발표 자료를 기반으로 합니다.

 

🗓️ 신청 기간 및 방법

청년도약계좌는 2025년 12월 31일까지 가입 신청을 받으며, 보통 매월 초에 1~2주간 신청 기간을 운영해요. 정확한 월별 신청 일정은 서민금융진흥원 홈페이지에서 미리 확인하는 것이 가장 정확합니다.

신청은 11개 취급 은행의 스마트폰 앱(App)을 통해 비대면으로 간편하게 할 수 있어요. 아래 은행 목록을 확인해보세요!

🏦 취급 은행 목록

농협은행 · 신한은행 · 우리은행 · 하나은행 · 기업은행
국민은행 · 부산은행 · 광주은행 · 전북은행 · 경남은행 · 대구은행

 

💡

한눈에 보는 청년도약계좌

가입 대상: 만 19~34세 (병역 이행 시 연령 연장)
소득 기준: 개인 총급여 7,500만 원 & 가구 중위소득 250% 이하
핵심 혜택: 정부기여금 + 비과세
납입 한도:1천 원 ~ 70만 원 자유적립
신청 방법: 11개 은행 앱에서 비대면 신청

자주 묻는 질문 ❓

Q: 청년희망적금을 가지고 있는데, 중복 가입이 되나요?
A: 아니요, 아쉽게도 청년희망적금과 청년도약계좌는 동시 가입이 불가능합니다. 하지만 청년희망적금 만기가 된 후에 만기수령금을 청년도약계좌에 한 번에 납입하는 '일시납입' 방식으로 연계 가입이 가능하니 참고해 주세요!
Q: 5년은 너무 긴데, 중간에 해지하면 어떻게 되나요?
A: 원칙적으로 중도에 해지하면 정부기여금과 비과세 혜택을 받을 수 없습니다. 하지만 생애최초 주택구입, 퇴직, 혼인, 출산 등 특별한 사유로 해지하는 경우엔 혜택이 유지됩니다. 또한, 3년 이상 가입을 유지했다면 중도에 해지하더라도 비과세 혜택과 정부기여금 일부를 지원받을 수 있도록 제도가 개선되었습니다.
Q: 매달 70만원을 꼭 넣어야 하나요?
A: 아닙니다! 청년도약계좌는 월 1천 원부터 70만 원까지 자유롭게 납입할 수 있는 자유적립식 상품입니다. 이번 달에 여유가 없으면 납입하지 않아도 계좌는 유지되니 부담 없이 시작해 보세요.
 

오늘 설명해 드린 내용이 청년 여러분의 든든한 미래를 설계하는 데 도움이 되었으면 좋겠습니다. 더 궁금한 점이 있다면 언제든지 댓글로 질문해주세요! 여러분의 성공적인 자산 형성을 항상 응원하겠습니다. 😊